육아/육아 Tip

행동이 느린 아이 이유가 무엇일까?

귀찮은 여니씨 2016. 6. 23. 11:11

 

 

행동이 느린 아이 이유가 무엇일까?

 

먼저 아이의 행동이 정말 느린 건지 아니면 부모눈에 느리게 보이는 것인지 구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성격이 급한 부모는 상대적으로 아이의 행동이 느리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경우라면 부모가 마음의 여유를 갖고 아이에게 시간을 주면 금방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부모 중에 행동이 느린 사람이 있다면 아이도 그 영향을 받아 느릴 수 있습니다.
행동이 느리지 않은 다른 한 쪽의 부모가 답답해하며 아이와 함께 탓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아이의 잘못이 아니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대신 느린 쪽은 조금 더 서두르고 다른쪽은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느린 행동을 고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우리가 눈여겨보아야 할 것은 심리적/신체적 이상으로 행동이 느린 아이입니다.
우울한 아이나 산만한 아이, 의존적인 아이, 운동능력이 부족한 아이는 행동이 느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느린 행동의 원인을 찾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 우울한 아이가 느린 이유

부모가 아이의 소질이나 적성을 무시한 채 무리한 교육을 하거나 가족이나 친구등과 문제가 있을 때 우울감에 빠지고, 일상적인 행동이 느려집니다.
우울한 기분이 계속되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 대인관계에도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우울의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산만한 아이가 느린 이유
산만한 아이는 한 가지 행동에 오랫동안 집중할 수 없어 느린 것 처럼 보입니다.
이럴 때는 부모가 옆에서 아이의 행동 하나하나를 챙겨주면서 집중하는 시간을 늘려야 합니다.
아이가 숙제를 할 때 옆에서 함께 하고 가방을 쌀 때도 빼놓은 것은 없는지 하나하나 챙기면 산만한 행동은 물론 느린 행동도 좋아집니다.

3. 의존적인 아이가 느린 이유
내가 하지 않아도 누군가 해줄 것이라는 마음이 있기 때문에 어떤 일이든 서두르지 않습니다.
느리게 밥을 먹으면 부모가 급한 마음에 떠먹여주고, 숙제가 너무 길어진다 싶으면 부모가 나서서 해주기 때문입니다.
이런 습관이 반복되면 아이는 느린 행동을 보입니다.
작은 일이라도 아이 스스로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세요.

4. 운동능력이 부족한 아이가 느린 이유
운동화 끈을 매지 못하거나 가위질이 서툰 아이는 소근육 발달이 덜 되어 행동 자체가 느릴 수 밖에 없습니다.
이것은 시간이 지나 운동능력이 발달하면 해결되지만 초등학교 2~3학년이 되어서도 어려움이 있다면 "운동기술장애"나 "발달성 근육운동 협응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신체적인 이상이 없는지 살펴 본 다음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5. 반항하는 아이가 느린 이유
부모나 선생님에 대한 불만이 있을 때 아이들은 느린 행동으로 불만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사춘기가 아닌데도 반항의 의미로 느린 행동을 보인다는 것은 아이 마음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므로 반항하는 이유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해결책을 찾아주세요